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58

[토지 집중 현상의 실체와 대응 전략] 2024년 토지소유현황 통계를 통해 본 한국 땅의 권력 지도 2024년 말 기준, 대한민국 국민 중 약 1,965만 명, 즉 10명 중 4명꼴로 토지를 소유하고 있다는 통계가 오늘 발표되었습니다.세대 기준으로 보면 약 63%가 땅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이 숫자만 보면 ‘대한민국은 땅 부자 천국’ 같지만, 실상은 정반대입니다.상위 10%가 전체 토지의 78%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이 그 반증입니다.우리는 지금, ‘땅을 가진 자’와 ‘가질 수 없는 자’ 사이의 토지 계층화 현실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 토지 집중 현상의 실체2024년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토지소유현황 통계는, 자산 양극화의 구조적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줍니다.1️⃣ 상위 10%의 독점 구조개인의 78.4%,법인의 92.3%,비법인의 68.9% 토지가 상위 10%에게 집중되어 있습니다.이는 단순한.. 2025. 7. 12.
[기후 위기와 부동산 투자] 폭염 시대, ‘기후 대응력’이 자산이 된다 기후 변화로 인한 폭염이 부동산 시장의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연일 이어지는 극심한 폭염은 단순히 생활의 불편을 넘어, 부동산의 미래 가치와 투자 전략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제는 입지, 교통, 학군을 넘어 ESG, 제로에너지, 기후순응형 건물 등 친환경 요소와 함께, ‘기후 대응력’이 부동산의 핵심 자산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1. 폭염, 부동산 시장의 새로운 리스크도시 열섬 현상과 주거 환경 악화도시는 콘크리트와 아스팔트로 덮여 있어 열을 흡수·저장하는 특성이 강합니다. 이로 인해 도심의 기온이 외곽보다 3~5도 이상 높아지는 ‘열섬 현상’이 심화되며, 폭염이 장기화될수록 주거 환경이 급격히 악화됩니다. 특히 녹지나 공원이 부족한 지역은 폭염에 더욱 취약해, 거주 만족도와 건강이 .. 2025. 7. 11.
유동성은 왜 부동산으로 몰릴까? – 이재명 정부 추경과 구조적 흐름 분석 2025년 현재, 이재명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해 대규모 **추가경정예산(추경)**을 단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소비 쿠폰 지급, 공공투자 확대, 중소기업 자금 지원 등으로 **시장에 많은 돈(유동성)**이 풀리고 있죠. 이런 돈은 어디로 흘러갈까요? 대부분의 경우 부동산으로 향합니다. 왜일까요?1. 유동성이란 무엇인가요?유동성은 시장에 풀린 '현금성 자산'입니다. 추경은 정부가 돈을 풀어 경기를 살리는 대표적인 방법인데요, 이번 추경으로 인해 개인과 기업의 손에 더 많은 돈이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금리는 여전히 낮고, 예금 이자는 매력적이지 않기 때문에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투자처를 찾게 됩니다. 이때 가장 눈에 띄는 곳이 부동산입니다.2. 왜 부동산에 돈이 몰릴까요?1) 부동산은 안전하다는 인식이.. 2025. 7. 10.
2025년 하반기 집값, 다시 오를까? 4년 만에 최고 기대감! 시장 분위기 반전 신호일까 2025년 하반기,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은 상반기와는 전혀 다른 분위기로 전환되고 있습니다.부동산 R114가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집값이 오를 것이라는 응답이 무려 **49%**에 달하며, 이는 2021년 이후 4년 만에 최고치입니다.전반적인 부동산 심리가 되살아나고 있는 이 시점, 과연 하반기 집값은 어떻게 흐를까요?1. 상승 전망 49%… 상반기보다 17% p 상승부동산 R114는 2025년 6월 말 전국 9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습니다.그 결과, **집값 상승을 전망하는 비율이 49%**에 달하며, 상반기(32%)보다 17% 포인트 증가했습니다.반면 하락을 예상한 응답자는 13%에 불과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실수요자와 투자자 모두가 .. 2025. 7. 9.
[강남에 살아야 하는 이유?] 서울 vs 지방 아파트 분양가 격차, 35년간 벌어진 충격적 현실 최근 청담르엘 분양가가 평당 1억 500만 원을 돌파하며 또 한 번 충격을 주었습니다. 반면 지방 중소도시의 신축 아파트는 여전히 평당 1,500만 원 수준에 머물고 있어 7배에 가까운 격차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숫자가 단순히 현재의 이야기일까요? 35년 전인 1990년 초, 서울과 지방의 아파트 가격 차이는 겨우 3~4배에 불과했습니다. 그렇다면 이 격차는 어떻게 7배까지 벌어지게 되었을까요? 더 중요한 질문은 이것입니다. 1990년 초 같은 조건에서 시작한 두 사람이 35년 후 왜 이렇게 다른 삶을 살게 되었을까요? 한 사람은 서울에서, 다른 사람은 지방에서 똑같이 성실하게 살았는데 말입니다. 본 분석은 제가 주변의 서울 거주자들과 지방 거주자들을 직접 조사하고 비교한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 2025. 7. 8.
2025년 7월, 부동산 시장에 불어닥친 변화 – 6·27 대출 규제 이후 거래량과 집값은 어떻게 달라졌나? 2025년 7월,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은 그야말로 격변의 한가운데에 있습니다. 정부가 6월 27일 발표한 고강도 대출 규제 이후,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아파트 시장의 거래량과 집값이 눈에 띄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최근 부동산 규제 이후 시장에서 실제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거래량과 가격 변동을 중심으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거래 절벽 현실화 – 거래량 급감의 현장 가장 먼저 체감되는 변화는 바로 거래량의 급감입니다. 6·27 대출 규제 시행 직후,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단 일주일 만에 577건으로 떨어졌습니다. 이는 직전 일주일(1,629건)과 비교해 무려 64.6%나 감소한 수치입니다.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는 각각 68.4,66% 감소하는 등 서울 전역에서 거래 절벽 현상.. 2025. 7.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