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말 기준, 대한민국 국민 중 약 1,965만 명, 즉 10명 중 4명꼴로 토지를 소유하고 있다는 통계가 오늘 발표되었습니다.
세대 기준으로 보면 약 63%가 땅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
이 숫자만 보면 ‘대한민국은 땅 부자 천국’ 같지만, 실상은 정반대입니다.
상위 10%가 전체 토지의 78%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이 그 반증입니다.
우리는 지금, ‘땅을 가진 자’와 ‘가질 수 없는 자’ 사이의 토지 계층화 현실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 토지 집중 현상의 실체
2024년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토지소유현황 통계는, 자산 양극화의 구조적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줍니다.
1️⃣ 상위 10%의 독점 구조
개인의 78.4%,
법인의 92.3%,
비법인의 68.9% 토지가 상위 10%에게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소유’의 문제가 아닌, 기회의 독점이자 세습 자산화를 의미합니다.
2️⃣ 고령층 중심의 자산 편중
60대 이상이 전체 토지 보유자의 절반 이상(51%)을 차지
30·40세대는 전체의 20% 남짓
👉 자산의 세대 간 이전이 점점 어려워지고, 젊은 세대의 토지 진입은 더욱 희박해지고 있습니다.
3️⃣ 법인 명의 토지 급증
2006년 대비 법인의 토지 보유 면적은 35.6% 증가,
개인은 오히려 4.7% 감소
법인은 생산활동보다 절세·투자수단으로 토지를 보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이는 과세 회피, 정책 사각지대, 그리고 실수요자 배제를 유발합니다.
4️⃣ 외지인 보유 확대
전국 평균 43.6%가 외지인 소유,
세종시는 59%까지 상승
👉 지역 외 자본에 의한 시장 주도가 증가하면서, 지역민은 가격 상승의 피해자가 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 정책적 대응이 시급한 이유
토지는 생산의 기반이자, 국가 자산의 핵심 구성요소입니다.
토지 집중 현상은 단순한 사적 소유의 문제가 아닌, 다음과 같은 공공적 리스크로 연결됩니다.
자산 불균형의 고착화 → 사회 불만과 세대 간 갈등 확대
공정한 기회 접근 차단 → 청년 세대의 사회적 역동성 저하
지역 불균형 심화 → 지방소멸 가속화
👉 따라서 정책은 더 이상 소극적일 수 없습니다.
🛠 대응 전략 제언
✅ 1. 토지 보유세 강화와 누진 조정
상위 다수 보유자에게 실질적 부담 유도
일정 규모 이상 집중 소유에 대해 가산세 도입
✅ 2. 법인 토지 소유 목적의 투명화
실사용 목적 확인 제도 도입,
투기 목적 법인 보유에 대한 과세 강화
✅ 3. 외지인 규제와 지역 우선 제도 병행
투기 과열 지역에 거주자 우선 매입제 도입
외지인 비중이 과도한 지역은 거래 제한 검토
✍ 토지의 공공성과 세대 균형
토지는 개인의 사유 재산임과 동시에, 사회적·공공적 가치를 가진 자산입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누군가는 수천 평을 소유하고 있지만, 누군가는 내 삶의 터 한 칸 마련조차 어려운 현실에 놓여 있습니다.
2024년 통계가 보여주는 토지 집중 현상은,
이제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시대적 과제입니다.
‘공정한 토지 구조’
‘기회의 균형’
‘지속 가능한 부동산 생태계’를 위해
지금 이 순간, 우리는 결단을 내려야 합니다.
'부동산 정책 & 법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 대통령, 대출 규제 이후 첫 부동산 정책 메시지의 의미와 전망 (3) | 2025.07.03 |
---|---|
부동산 양극화, '똘똘한 한 채' 탓이라고? 진짜 원인과 해법 짚어보기 (6) | 2025.07.02 |
부동산 정부 정책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 현실과 전망 (4) | 2025.06.30 |
확 바뀐 농촌의 미래! 2025 국토계획법 개정안 A to Z 총정리 (농림지역 주택 허용, 농공단지 건폐율 완화) (8) | 2025.06.26 |
[긴급 공지] 6년 살고 내 집 될 기회! 분양전환형 매입임대주택 2차 입주자 모집 총정리! (0) | 2025.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