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현재, 이재명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해 대규모 **추가경정예산(추경)**을 단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소비 쿠폰 지급, 공공투자 확대, 중소기업 자금 지원 등으로 **시장에 많은 돈(유동성)**이 풀리고 있죠.
이런 돈은 어디로 흘러갈까요? 대부분의 경우 부동산으로 향합니다. 왜일까요?
1. 유동성이란 무엇인가요?
유동성은 시장에 풀린 '현금성 자산'입니다. 추경은 정부가 돈을 풀어 경기를 살리는 대표적인 방법인데요, 이번 추경으로 인해 개인과 기업의 손에 더 많은 돈이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금리는 여전히 낮고, 예금 이자는 매력적이지 않기 때문에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투자처를 찾게 됩니다. 이때 가장 눈에 띄는 곳이 부동산입니다.
2. 왜 부동산에 돈이 몰릴까요?
1) 부동산은 안전하다는 인식이 강합니다.
- 주식처럼 하루에 오르내리지 않고,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상승을 기대할 수 있어요.
- 서울이나 수도권 핵심 지역은 '어차피 오른다'는 믿음도 있죠.
📌 실제 사례: 올해 상반기, 강남구 청담동의 한 재건축 단지는 평당 1억 원이 넘는 분양가에도 불구하고 빠르게 청약이 마감되었습니다. 투자자들은 “언젠가는 오를 지역”이라는 확신으로 몰렸습니다.
2) 대출을 이용해 더 큰 자산을 살 수 있어요.
- 예를 들어, 내 돈 1억 원과 대출 4억 원으로 5억짜리 아파트를 살 수 있어요.
- 주식은 내 돈 1억 원으로 1억 원어치밖에 못 사죠.
📌 사례: 경기도 성남의 한 신축 아파트는 분양가가 6억 원이지만, 실수요자보다 투자 목적의 ‘영끌 대출 수요’가 많았습니다. 이들은 전세를 끼고 1억~2억만 넣고 집을 구입했죠.
3) 공급이 제한적이라 희소성이 높습니다.
- 땅과 집은 많이 만들 수 없고, 좋은 입지의 공급은 항상 부족합니다.
- 특히 이번 정부의 도시재생 정책은 공급보다 리모델링 중심이라 수요가 우위인 구조가 계속됩니다.
📌 사례: 대전시 중구의 도시재생사업 구역은 신축이 거의 불가능하지만, 원도심 입지라는 이유로 오래된 건물에도 프리미엄이 붙고 있습니다.
4) 정부 정책이 오히려 기회로 느껴질 때가 많습니다.
- 세금 감면, 대출 규제 완화, 신도시 개발 등은 오히려 "지금이 투자 타이밍"이라는 인식을 만들죠.
📌 사례: 6·27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수도권 외곽의 미분양 아파트 청약률이 단기간에 2배 이상 상승했습니다. 일부 지역은 '대출 문이 열렸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졌죠.
3. 이재명 정부의 추경, 왜 부동산 상승 가능성을 자극할까?
이번 추경은 소비 진작과 경기 회복을 목적으로 하지만, 결국 유동성이 늘어나면 자산시장에 영향을 미칩니다.
- 소비 쿠폰 지급 → 소비 증가 → 기업 매출 증가 → 투자 심리 회복
- 저금리 유지 → 예금 매력 ↓ → 투자처로 자산 이동
- 부동산 규제 완화 기대감 → 수요 급증 가능성
📌 사례: 2025년 7월 지급된 외식·숙박 소비쿠폰은 당초 소비 촉진이 목표였지만, 시장에서는 “정부가 돈을 푼다”는 신호로 받아들이며, 자산시장에 다시 활기를 불러일으켰습니다.
특히 서울 강북권 재개발 구역의 거래량이 전월 대비 38% 증가했습니다.
즉, 정부는 소비를 자극하지만, 시장은 그 돈을 부동산으로 옮기는 구조적 습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죠.
마무리: 돈이 몰릴 곳을 미리 읽어야 한다
이번 이재명 정부의 추경은 단순한 경기부양 정책이 아닙니다. 시장에 유동성이 들어오는 통로이자, 자산시장 움직임의 촉매입니다.
돈이 부동산으로 몰릴 때 중요한 건 타이밍과 전략입니다. 정책 방향, 입지, 공급계획, 수요 흐름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대응해야 합니다. 특히 지금처럼 불확실한 시기에는 정보 해석력이 투자 성패를 좌우합니다.
'부동산 시장 흐름 & 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하반기 집값, 다시 오를까? (2) | 2025.07.09 |
---|---|
[강남에 살아야 하는 이유?] 서울 vs 지방 아파트 분양가 격차, 35년간 벌어진 충격적 현실 (6) | 2025.07.08 |
2025년 7월, 부동산 시장에 불어닥친 변화 – 6·27 대출 규제 이후 거래량과 집값은 어떻게 달라졌나? (4) | 2025.07.07 |
GTX-C 연장 기대, 천안역 착공이 가져올 부동산 변화는? (0) | 2025.07.03 |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 6억 원, 부동산 시장에 무슨 일이? (3) | 2025.07.01 |